본문 바로가기

전체3226

박정희 할머니, 평안수채화의 집 한글 점자 창시자인 소암 박 두성 선생의 차녀로 1923년에 태어난 박정희 할머니는 독학으로 오랜기간 수채화 작업을 계속해 오신 분이다. 박정희 할머니의 본격적인 활동시기 이전인 20대부터 육아일기를 쓰며 손수 삽화를 그려 가족의 일상을 담아내셨다고 한다.1940년대에 다섯 남매의 육아 성장일기를 만들었는데 현재 이 육아일기는 "박 정희 할머니의 육아일기"로 출간되어 많은 이들에게 삶의 긍정 에너지를 심어주고있다.박정희 할머니는 경성 여자 사범학교를 우등으로 졸업하고 인천 제2 송림 보통학교 교사로 3년간 근무하기도 했고,1944년 평양의전 출신 내,소아과 의사와 결혼, 평양에서 시부모를 모시고 살았으며,1947년 3.8선을 넘어 친정이 있는 인천 율목동에서 6.25를 겪었고 1.4후퇴때는 남쪽으로 내려.. 2012. 5. 6.
막걸리가 뉴욕에서 광고 된다면? 2012. 5. 4.
3 Surprising Facts about Brand Advocates 2012. 5. 4.
[준비하는 재테크-103] 이자로 은퇴 생활을 한다는 것은 착각에 불과하다. 현재 100만원으로 살수 있는 물건이 지난해 같은 때보다 늘었나? 줄었나? 재테크가 쉽지 않다는 것은 확인하기는 생각보다 아주 쉽다. 인터넷의 검색창에 '재무 계산기'를 입력하면 많은 재무 계산기가 나온다. 그 중에 하나를 골라서 재무 계산기를 통해서 이자와 현재 가치를 계산해보자. 1백 만원을 1년 거치 4%의 정기 예금에 가입했다고 하자. 1년 뒤에는 1,040,000원으로 4만원의 이자가 붙었다. 이자 4만원에 대해서 15.4%의 과세를 하면 실제 이자 금액은 33,840원이 된다. 즉, 1,000,000원을 4% 금리의 시중은행 정기 예금에 투자하면 1,033,840원이 된다. 그런데 이자가 늘어나는 1년 동안 물가가 3.384% 상승하면 1년 뒤의 1,033,840원과 현재의 1,000,000원.. 2012. 5. 3.
적성에 맞는 일을 하면 오래 살까? <나는 몇 살까지 살까?> [나는 몇 살까지 살까? 1,500명의 인생을 80년간 추적한 사상초유의 수명연구 프로젝트] 적성에 잘 맞는 일을 하면 더 오래 살 것이라는 예측이 늘 맞는 것은 아니었다. 때때로 적성과 직업의 일치는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진취적인 직업 집단에 속한 남성들 중에서 성격과 직업적 특성이 매우 잘 맞는 사람들은 오히려 더 일찍 사망했다. 자신감 넘치고 말을 잘하는 남성이 판매 관리 같은 일을 했을 때, 똑같이 자신감 있고 말을 잘하지만 다른 종류의 일을 한 남성보다 훨씬 더 위험했다. 성격 기질과 직업이 서로를 강화시켜서 스트레스를 높이고 건강에 해로운 습관을 야기했던 것이다. 실제 성격은 별로 진취적이지 않지만 진취적인 직업이 자신의 천직이라 생각하는 남성들도 사망위험이 비교적 .. 2012. 5. 3.
서울,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있는 도시 중 20위 Hot Spots : the World's most Competitive Cities 서울이 세게에서 가장 경쟁력있는 도시 중 20위를 차지했다. 여기서 경쟁력이란 비즈니스와 관광을 위해서 매력적인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1위는 뉴욕, 2위는 런던, 3위는 싱가포르, 4위는 홍콩, 5위는 파리, 6위는 도쿄, 7위는 취리히, 8위는 워싱턴, 9위는 시카고, 10위는 보스톤, 11위는 프랑크푸르트, 12위는 토론토, 13위는 제네바, 14위는 샌프란시스코, 15위는 시드니, 16위는 멜보른, 17위는 암스테르담, 18위는 벤쿠버, 19위는 로스엔젤레스 마지막 20위는 서울이 선정되었다. 참고로 카라치는 뉴욕 생활비의 1/2, 도쿄 생활비의 1/3으로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살 수 있는 도시로 꼽혔다. 근거자료는.. 2012. 5. 3.
15년 넘게 중국의 친구를 위해 날마다 기도하다 <하나님의 대사> 사장님께서 한 권 한 권 직접 서명을 하시면서 전직원에게 나누어주신 책이다. 말씀에 순중하여 얻은 승리의 기록이라는 띠지에서 밝힌 바와 같이 "내게 물어라 반드시 답할 것이다."라는 기도 응답에 대한 확신을 담은 책이다. 총 3권. [본문 중에서] 나는 지난 15년 동안 우 차관을 위하여 수없이 기도했다. 내가 그에게 주한대사로 오라고 말한 후에 3년을 기도했는데 그가 주한대사로 왔고, 그에게 주일대사로 갈 것이라고 말하고 기도했는데 주일대사로 갔다. 다시 3년 후에 외교부 차관이 될 것이라고 말하고 그것을 위하여 기도하고 있는 중에 그가 외교부 차관이 되었고, 그의 은퇴를 연장해달라고 기도했는데 연장이 되었다. 하나님께서 사랑하는 친구를 위한 내 눈물의 기도를 들어주신 것이다. (중략) 나는 … 우다웨.. 2012. 5. 2.
[금융주의보-199] 성실함이 주는 확실한 장수 경제학 스탠퍼드 대학의 심리학 교수인 터먼 박사는 1910년 전후에 태어난 총명한 1,500명을 선발했다. 터만 박사는 이 아이들의 인생 전반을 집요하게 추적하면서 건강과 행복 사이의 흥미로운 상관 관계를 밝히는 새로운 장을 열었다. 놀라운 사실은 실험 참가자들 중 장수한 사람들의 건강 비결이 브로콜리라든가, 건강 검진, 비타민, 조깅 따위가 아니었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들의 성격, 직업, 사회생활이 오랫동안 건강하게 산 비결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음이 입증되었는데, 거기엔 우리가 전혀 예상치 못한 면이 꽤 많았다. 터만 교수의 연구는 제자들이 80년 간 연구를 이어가면서 진행했는데, 중요한 것은 유년기와 성년기 양쪽 모두에서 ‘성실성’은 성격 중에서 장수 여부를 예측하는 핵심 변수였다. 그렇다면 왜 성실한 사람.. 2012. 5. 2.
Social Media Statistics [FORTUNE 500] 2012. 5. 2.
[행복노후 컨설팅] 이제는 가정으로 출근할 시간 당신은 어떤 아버지였습니까? 아버지에 대한 평가는 가족 구성원마다 크게 다르다. 사회에서 아무런 지원 없이 독립군처럼 사회 이곳 저곳을 누비며 가족의 생계를 위해 동분서주하지만, 가족들이 집안에서 생활하는 행동 양식을 지켜보면 물 한 잔을 스스로 찾아 마실 줄도 모르는 골칫거리로 비추기 일쑤다. 아버지들은 가족들을 위해서 몸이 부서져라 일한다고 생각하지만, 가족들은 아버지가 본인의 성취감을 위해서 일한다고 믿는다. 아버지는 가족들에게 좀 더 경제적 여유를 돌려주기 위해서 자신의 외모 가꾸기에 열중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데, 가족들은 극복할 수 없는 체형에 더 이상의 투자는 소용없으니 차라리 빨리 깨닫고 일찍 포기하기를 잘했다고 격려한다. 자녀 교육비가 걱정되어 좋아하는 술도 담배도 끊었다고 선언하지만, 아.. 2012. 5. 1.
[행복한 인생 2막-07] 시니어, 행복의 시작과 끝은 가족이다. [GOLD &WISE] 5월호 시니어, 행복의 시작과 끝은 가족이다. from Henry Kim ‘아내를 사랑하는’ 남편들의 노력, 이혼율을 감소시키다.지난 1999년 8월 15일, 일본의 후쿠오카 현 구루메시에 있는 한 사무실에서 아마노 수이치(天野周一)씨가 ‘정주관백(亭主關白, ていしゅかんぱく)협회’ 설립을 결의하게 된다. 설립 이래 월간 홈페이지에 ‘전국정주관백협회’ 코너를 개설하고, 2004년에는 실제로 ‘전국정주관백협회(www.zenteikyou.com)로 발전하게 되었다. 본래 ‘정주관백’이라는 말은 ‘권력이 있다’는 뜻과 함께 ‘뽐내고 있다’는 의미가 있고, 사전적인 의미로는‘폭군’이라는 뜻이다. 가정에서 남편이 지배권을 가지고 있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지극히 가부장적인 남편을 일컫는 말이었다. 하지만 협회는 집안의 .. 2012. 5. 1.
Not Ready for Retirement 2012. 5. 1.
Nevertirees: 네버타이어, 은퇴하지 않는 이들 Nevertirees: the percentage of wealthy people around the world who say they will always work. 2012. 5. 1.
Economist sound alarm over Rising YEN 2012. 5. 1.
'2010 쇼크', 문제는 지금부터다 - 교보문고 북모닝 CEO 2012. 4. 30.
각 연령대를 지칭하는 일본의 신조어 일본 광고회사 덴츠(電通)사 홈페이지에서 보도자료를 검색하다가 “アラフォー·アラフィフ여성의 의식·생활조사”를 보고 모르는 단어가 있어 인터넷을 뒤졌더니, 각 연령층을 약칭하는 단어를 만들어쓰고 있었다. ①15~24세즉 20세 전후세대는 20세를 의미하는 일본어 하타치(ハタチ)를 차용하여 ‘아라하타(アラハタ)’라고 하는데, ‘아라(アラ)’는 영어단어 ‘around’에서 차용하여 왔다. ②25~34세즉 30대 전후세대는 영어 ‘thirty’의 일본어 발음 ‘사티’에서 '사'를 차용하여 ‘아라사(アラサー, around 30)’, ③35~44세즉 40대 전후세대는 영어 ‘forty’에서 ‘포’를 차용하여 ‘아라포(アラフォー, around 40)’, ④45~54세즉 50대 전후세대는 영어 ‘fifty’에서 ‘피프.. 2012. 4. 28.
시니어들이 차별받지 않는 환경 만들 것 >> 시니어들이 차별받지 않는 환경 만들 것 Q1. 지난 50년 인생을 짧게 정리한다면?A1. 성실하고 건전한 사회 구성원. 내가 노력한 것보다는 큰 대가로 평가받아 감사할 따름이다. Q2. 삶에서 깨달은 것은?A2. 사회와 가정을 위해서 일해왔다고 생각했지만 본질적으로는 나 자신의 탐욕만을 위해 살아온 것이 부끄러웠다. 그래서 마흔다섯 나이에 20년 동안 몸담았던 증권회사를 떠나 시니어 비즈니스에 뛰어들었다. 제 2의 인생을 보다 의미 있게 시작해야겠다고 결심하게 됐다. Q3. 올 한 해의 계획은?A3. 지난달 아내와 함께 쓴 두 번째 책 가 출간됐다. 이제 은퇴 준비를 위한 인식의 전환을 촉구하는 세 번째 책 쓰기를 시작할 예정이다. Q4. 앞으로의 삶에서 목표하는 것은?A4. ‘Business as.. 2012. 4. 27.
[준비하는 재테크-102] 돈 냄새가 자식을 부른다는 조사결과 본 칼럼은 김형래가 작성한 것으로 조선닷컴에 게재되었습니다.http://newsplu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4/26/2012042600920.html ‘동방예의지국’이라는 사회적인 단어에 대해서는 자신감이 떨어지지만, ‘효도’라는 가족 단위의 문화는 사라지지 않았다고 어느 정도 확신하고 있는 우리네 정서를 과학적으로 입증한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자료를 찾다가 우연히 ‘돈과 가족 간 접촉 빈도’에 관한 논문 기사를 읽게 되었다. 각박한 세태를 설명하듯이 "자식과 손자 얼굴 자주 보려면 죽을 때까지 돈을 움켜쥐고 있어야 한다". 세간의 속설이 조사를 통해 사실로 검증되었다는 것이다. 더구나 우리나라 자녀들은 떨어져 사는 부모와의 접촉이 세계적으로 가장 뜸한 것.. 2012. 4. 26.
Most Successful Movies 2012. 4. 26.
[금융주의보-198] 이자로 은퇴 생활을 한다는 것은 착각에 불과하다. 현재 100만원으로 살수 있는 물건이 지난해 같은 때보다 늘었나? 줄었나? 재테크가 쉽지 않다는 것은 확인하기는 생각보다 아주 쉽다. 인터넷의 검색창에 '재무 계산기'를 입력하면 많은 재무 계산기가 나온다. 그 중에 하나를 골라서 재무 계산기를 통해서 이자와 현재 가치를 계산해보자. 1백 만원을 1년 거치 4%의 정기 예금에 가입했다고 하자. 1년 뒤에는 1,040,000원으로 4만원의 이자가 붙었다. 이자 4만원에 대해서 15.4%의 과세를 하면 실제 이자 금액은 33,840원이 된다. 즉, 1,000,000원을 4% 금리의 시중은행 정기 예금에 투자하면 1,033,840원이 된다. 그런데 이자가 늘어나는 1년 동안 물가가 3.384% 상승하면 1년 뒤의 1,033,840원과 현재의 1,000,000원.. 2012. 4. 26.
12.05.25 내 나이 50 내 멋을 찾자 - 시니어조선 창간호 시니어파트너즈 상무 김형래 >> 시니어들이 차별받지 않는 환경 만들 것 1. 성실하고 건전한 사회 구성원. 내가 노력한 것보다는 큰 대가로 평가받아 감사할 따름이다. 2. 사회와 가정을 위해서 일해왔다고 생각했지만 본질적으로는 나 자신의 탐욕만을 위해 살아온 것이 부끄러웠다. 그래서 마흔다섯 나이에 20년동안 몸담았던 증권회사를 떠나 시니어 비즈니스에 뛰어들었다. 제 2의 인생을 보다 의미 있게 시작해야겠다고 결심하게 됐다. 3. 지난달 아내와 함께 쓴 두 번째 책 가 출간됐다. 이제 은퇴 준비를 위한 인식의 전환을 촉구하는 세 번째 책 쓰기를 시작할 예정이다. 4. ‘Business as Mission’을 실천하는 것. 시니어들이 나이로 차별받지 않고 그들의 수고와 헌신이 제대로 대접받을 수 있는 환경.. 2012.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