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Lifestyle/책Book

뇌과학이 밝혀낸 중년 뇌의 놀라운 능력 -《가장 뛰어난 중년의 뇌》

by Retireconomist 2011. 12. 20.

강력한 이마겉질(전두피질)에서 힘을 차출하는 사람들(또는 차출하는 법을 배우는 사람들)에게는 과학자들이 ‘인지적 비축분cognitive reserve’이라 부르는 것이 생긴다. 이 비축분은 노화 효과들에 대항하는 완충 장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축분은 신속하게 요점을 이해하고, 상황을 판단한 후 서두르지 않고 분별 있게 행동하도록 하는 등 중년이 젊은 동료들보다 더 빨리 논의의 핵심을 파악하도록 하는 뇌력의 일종이다.(20쪽)

장기長期연구들을 분석하면서 심리학자들은 우리가 오래도록 지니고 있던 중년의 그림이 우리를 불완전하고 잘못된 곳으로 이끌었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 일련의 새로운 매혹적 연구 결과들이 암시하듯, 나이가 들어가는 뇌의 참된 본질은 우리에게 세계에 대한 더 넓은 시각, 패턴을 보는 능력, 각종 사실과 관점을 연결하는 능력, 심지어 더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선사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36쪽)

그런 검사를 통해 연구자들은 깜짝 놀랄 만한 결과를 발견했다. 가장 중요하고 복잡한 인지 기술들을 측정하는 여러 검사에서 현대의 중년에 속하는 연령(대략 40대에서 60대까지)일 때 받은 성적이 앞서 20대에 받은 성적에 비해 좋았던 것이다. 검사한 여섯 범주들 가운데 네 범주?어휘, 언어 기억, 공간 정향, 그리고 귀납적 추리(아마도 그 무엇보다 우리의 용기를 북돋아줄 부분)?에서 최고의 수행력을 보인 사람들의 나이는 평균적으로 40세에서 65세 사이였다.(45~46쪽)

중년이 되면 우리에게는 실세계에서 진짜 사람들과 함께 한 여러 해의 경험들이 풍부해질 뿐만 아니라, 인간 세상을 항해하는 데 전념한 뇌세포도 놀라울 정도의 내구성을 보인다. 각종 스캔 연구를 보면 이마겉질 중 감정적 통제를 많이 다루는 부위는 뇌의 다른 구역들보다 노화에 따른 위축 속도가 느리다. 그리고 우리가 옳은 결정을 하도록 도와주는 것은 바로 그 감정적 통제력, 정신적 기량, 인생 경험의 혼합물이다.(84쪽)

카스텐슨 팀이 ‘긍정성 효과positivity effect’라 부르기 시작한 것, 즉 나이를 먹으면서 긍정적인 것에 점점 더 초점을 맞추는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결국 연구자들에게 남은 현실적 대답은 하나뿐이었다. 우리가 나이를 먹으면서 긍정적인 것에 더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우리가 그렇게 하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렇게 대응하는 것이 목표에 적합하기 때문에 작정하고 그런 식으로 생활을 정돈한다는 것이다.(76~77쪽)

뇌 안에서 미엘린의 역할이 결정적이라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거의 없다. 어린 시절에 뇌가 발달해 운동겉질의 뉴런들이 미엘린으로 싸이면서 아이는 여러 근육을 더 잘 조화시켜 손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병으로 미엘린이 망가지기 시작한 사람은 균형과 같이 지극히 중요한 기능을 제어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미엘린이라는 절연체 덕분에 뉴런은 신호를 보낸 뒤 다음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상태로 더 빠르게 회복된다. 그래서, 바트조키스의 표현대로 뇌세포들의 “대역폭이 더 커져서”, 처리 속도가 3,000퍼센트라는 깜짝 놀랄 비율로 올라간다. 이에 의해 우리는 실질적으로 ‘온라인’ 상태가 되어 세계를 더 포괄적이고 종합적으로 보게 된다.(96~97쪽)

게다가 스탠퍼드의 심리학자 로라 카스텐슨의 언급처럼 “중년의 위기라는 존재를 뒷받침하는 경험적 증거는 없다. 절대로 없다.” … 참여자들은 중년의 위기를 겪기는커녕 35세와 65세 사이, 그리고 특히 40세와 60세 사이에 안녕well-being의 느낌이 전반적으로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여성들은 폐경기가 이제까지 묘사된 것처럼 땀과 슬픔의 바다가 아니라 하나의 ‘구원’임을 알았다고 했다. 참여자 대부분이 자신이 생산적이라 느꼈고 의미 있는 여러 활동에 참여했으며, 비교적 행복하다고 느끼는 결혼 생활을 포함해 자신의 삶을 적절하게 통제하고 있다고 느꼈다.(104~105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