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26

《너무 과한데 만족을 모르는》메리 트럼프 지음 할아버지가 트럼프 가문에 조성한 분열의 공기 안에서 도널드는 늘 유영한다. 분열은 다른 가족을 희생시키며, 그에게 지속적인 혜택을 주었다. 분열은 내 아버지에게 그러했듯 미국을 닳아 없어지게 하고 있으며, 도널드만은 건드리지 않은 채 우리를 변화시키고 있다. 분열은 우리에게 친절해질 수 있는 능력이나 용서의 힘을 믿는 마음을 빼앗아가고 있다. 이 두 가지는 도널드에게 아무런 의미도 없는 개념이다. 트럼프 행정부와 정당은 그가 펼치는 불평과 특권의 정치에 잠식되었다. 더 심각한 것은 역사, 헌법 원칙, 지정학, 외교(를 비롯한 모든 것)에 대한 이해가 전무할 뿐 아니라, 그와 관련된 지식을 보여줘야 한다는 압박을 단 한 번도 받은 적이 없었던 도널드가 자신의 아버지에게 배운 대로 ‘돈의 프리즘’을 통해서만.. 2020. 10. 2.
《축의 시대》카렌 암스트롱 지음 《축의 시대》는 기원전 900년부터 기원전 200년까지 세계의 주요 종교와 철학이 탄생한 인류사의 가장 경이로운 시기를 다룬 역사서이다. 축의 시대는 하늘을 올려다보며 자연의 힘을 경배하던 인간이 시선을 안으로 돌려 자아를 발견하고 내면의 신을 탐구하기 시작한 인류 정신 문명의 첫 번째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었다. 역사상 가장 뛰어난 사유의 천재들의 시대! 이 시대에 중국에서는 공자, 묵자, 노자가 활동했고, 인도에서는 《우파니샤드》, 자이나교, 고타마 싯다르타가 등장했으며, 이스라엘에서는 엘리야, 예레미야, 이사야가 나타났고, 그리스에서는 소포클레스, 소크라테스, 플라톤이 차례로 태어났다. 이들의 출현은 불을 다루는 기술을 발견한 것 다음으로 인류에게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서로 교류가 없던 네 지역에서 .. 2020. 10. 1.
《생각에 관한 생각》행동경제학의 바이블 | 대니얼 카너먼 우리 머릿속에서 무의식중에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지 관찰하려면 아래 사진을 보라. 우리는 이 여자의 얼굴을 보면서, 흔히 ‘본다’라고 말하는 행위와 ‘직관적 사고’를 매끄럽게 이어 붙인다. 사진을 보자마자 여자의 머리가 검다고 알아보듯이, 여자가 화났다는 사실도 순식간에 알아챈다. 게다가 지금 본 것을 미래까지 확장해, 여자는 이제 곧 거친 말을 아마도 크고 불쾌한 음성으로 쏟아놓을 것이라고 감지한다. 힘들이지 않고 저절로 여자의 다음 행동을 예감한 것이다. 여자의 기분을 가늠하거나 다음 행동을 예상하려는 의도는 없었으며, 사진을 보면서 내가 그런 가늠이나 예상을 한다는 느낌도 없었다. 어쩌다 보니 그리되었을 뿐이다. 빠르게 생각하기의 한 가지 사례다. _1장 등장인물, 36~37쪽 이런 현상이 일상에서 .. 2020. 9. 30.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인간은 폭력성과 어떻게 싸워 왔는가 인류는 지금 최악의 시대를 살고 있는가? 인류 문명과 함께 등장한 굵직굵직한 전쟁들의 보고, 무엇보다도 현 인류가 지난 세기 두 눈으로 직접 목격했던 두 번의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는 20세기가 그 어느 때보다 폭력적인 세기임을 입증하는 듯하다. 인류학은 먼 옛날 수렵 채집 시대의 평화롭고 고귀했던 야만인을 복원하며 ‘어제까지의 세계’가 ‘오늘’보다 더 나았다고 주장한다. 전 세계 미디어로 실시간 접하게 되는 내전과 접경 지역에서의 분쟁, 테러, 그리고 도시 빈민가에서, 학교와 군대, 가정에서 벌어지는 폭력 행위는 우리가 폭력이 점증하는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다는 믿음을 부추긴다. 정녕 우리는 인류 역사상 가장 참혹한 오늘을 살고 있는 것일까? 역사학과 인류학, 사회학 모두가 가리키는 바, 인류는 평화로운.. 2020. 9. 29.
《양손잡이 경제》 현재 한국 사회와 경제가 직면한 과제는 단선적이지 않고 복합적이다. 성장률도 끌어올리고 양극화도 완화하고 공동체 문화도 복원해야 한다. 성장 대 분배, 시장 대 정부, 작은 정부 대 큰 정부, 기업 대 노동. 이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고 다른 하나를 배척하는 이분법적 사고로는 이 과제를 풀어나갈 수 없다. 굳이 진영 논리로 말하자면 성장을 중시하는 ‘오른손’과 분배를 중시하는 ‘왼손’을 다 같이 써야 한다. 복합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처방전도 실용적이고 융합적이어야 한다. 진영의 논리는 이상적이지만 경직돼있다. 현장의 논리는 현실적이며 유연해야 한다. 이 책에서 살펴본 한국과 미국의 역대 정부들은 실제로는 경제 정책에 관한 한 진보와 보수 성격의 정책을 모두 사용했다. 현실이 요구할 땐 상대 진영.. 2020. 9. 20.
《옷장을 열면 철학이 보여》 패션을 좇는 인간은 어떤 집단에 소속되어 지지를 받고 싶어 해요! 하지만 동시에 다른 사람들과는 달라 보이고 싶어 하고, 개성을 증명할 필요성도 느껴요. 같은 집단에 속한 개인들을 결속하는 동시에 ‘열등한’ 집단을 배제하는 것, 이것이 패션의 변화무쌍한 원동력 중 하나인 듯해요! _44쪽 〈패션은 왜 계속 변화할까?〉 화려한 옷을 버린 신사들에게는 이제 실용적인 것만이 관심사에 올라요. 계속해서 플루겔을 인용하면, 신체를 드러내려는 욕망과 몸치장으로 자기를 표현하는 욕망을 억압하고 남자들은 관람자로 변모하게 됩니다. 남자들은 노출 충동과 표현 욕구가 억압되자 성적 죄책감을 느꼈어요. _62쪽 〈패션은 왜 여성의 전유물이 되었을까?〉 ‘여성성’은 여자를 작아 보이게 만드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죠! 그래서 .. 2020. 9. 19.
《도미니언》The Making of Western Mind ‘서양적 세계관’ 하면 대개 ‘신 중심의 비합리적 중세를 타파하고 인간과 이성을 중심으로 세계를 이해하게 된 합리적 관점’을 떠올릴 것이다. 그런데 그러한 과학적, 합리적, 휴머니즘적 사고조차 2천여 년 동안 도도히 흘러온 기독교의 저변 위에서 생겨나고 발전한 것이라면? 우리는 과연 서구 사회와 서양인의 세계관에 대해 얼마나 제대로 알고 있는가? 톰 홀랜드의 《도미니언》은 이에 대해 명쾌하면서도 깊은 통찰을 제공해주는 책이다. 방대한 역사적 사실을 탁월하게 직조하는 이야기꾼 톰 홀랜드가 펼쳐내는 신과 인간의 2500년 연대기 세계적인 역사 저술가 톰 홀랜드는 《루비콘》(2003)으로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논픽션 분야 상인 새뮤얼 존슨상 최종 후보에 올랐고, 헤셀-틸먼상을 수상했다. 이후 《페르시아 전.. 2020. 9. 18.
《두 번째 산》The Second Mountain 고통을 딛고 다시 시작하는 법 누구에게나 고통의 시기는 찾아온다. 고통은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어떤 사람은 직장을 잃고 기약 없는 구직자 신세로 내몰린다. 어떤 사람은 심장마비, 암, 뇌졸중 등으로 쓰러진다. 어떤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극심한 슬픔을 겪는다. 어떤 사람에게는 이런 고통이 극적인 위기가 아니라 무기력, 우울증, 번아웃처럼 서서히 진행되는 위기로 다가온다. 삶의 위기가 닥쳤을 때 인생은 부조리하고 무의미하게 느껴진다. 부와 명성이 아무리 높다고 하더라도 위안과 회복이 되어 주진 않는다(99~100쪽). 어떤 사람은 이런 고통에 맞닥뜨리면 과도하게 움츠러든다. 이들은 겁에 질려 영원히 치유되지 않는 슬픔을 끌어안고 평생을 살아간다. 그리하여 인생이 갈수록 더 쪼그라들고 더 외로워진.. 2020. 9. 17.
《유럽을 성찰하다》 “1964년에 밥 딜런은 ‘시대가 변했다’라는 노래를 불렀다. ‘시대는 변했다.’ 하지만 시대는 예상했던 방향으로 변하지는 않았다.” _ 서문 프랑스의 대표적 지성으로 꼽히는 경제학자 다니엘 코엔이 『유럽을 성찰하다』를 펴냈다. 원제가 ‘세상이 변했다고 말해야 한다Il Faut Dire Que Les Temps Ont Chang?’인 이 책은 68혁명 이후 이 세계의 변화에 대해 총체적으로 성찰한 진중한 인문에세이다. 특히 오랜 시간 세계 질서를 주도했던 유럽적 이성이 어떤 과정을 거쳐 변질되고 쇠락했는지, 바뀐 세계 속에서 지식인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길 찾기 질문을 여러 방면으로 담아놓았다. 유럽에 대한 총체적 반성이자, 포퓰리즘과 극우주의 등 극단의 문화 속에서 어떻게 글로벌한 합리성을 만들.. 2020. 9. 16.
《초격차: 리더의 질문》 실제 경영 현장에서 나온 32가지 고민과 질문 ‘초격차’로 가는 길목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것들 《초격차 : 리더의 질문》은 ‘리더’, ‘혁신’, ‘문화’ 3개 장으로 나뉘며, 리더들과의 만남에서 비롯된 총 32개의 고민과 질문에 저자가 직접 대답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혁신을 실패 없이 달성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무엇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까요?” “인재를 어떻게 선발하고 알아보고 활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위기를 헤쳐 나가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합니까?” “조직 만족도를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소통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업을 확장시키는 가장 좋은 타이밍이 언제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이처럼 실제 경영 현장에서, 조직이 굴러가는 생.. 2020. 9. 15.
《규칙 없음 》No Rules Rules. “직원들이 회사를 평생직장으로 여기길 바라지 않았다. 직장은 어떤 사람들이 그 일을 가장 잘할 수 있고, 그 일을 하기에 가장 좋은 자리가 마련된 그런 마법 같은 기간에 전력을 다할 수 있는 곳이 되어야 한다. 더는 직장에서 배울 것이 없거나 자신의 탁월성을 입증할 수 없다면 그 자리를 자신보다 더 잘할 수 있는 사람에게 넘겨주고 자신에게 더 잘 맞는 역할을 찾아가야 한다.” (301쪽) 넷플릭스 CEO 리드 헤이스팅스의 이 말을 읽는 순간 등골이 서늘해졌다. 결국 “일 못하면 자르겠다”는 이야기다. 이런 경영자 밑에서 일하고 싶은가? 솔직히 내키지 않지만, 넷플릭스의 연평균 자발적 이직률은 몇 년째 꾸준히 3~4%를 유지해 왔다. 미국 기업 연평균 자발적 이직률은 12%. 대신 비자발적 이직률은 8%로.. 2020. 9. 14.
《보이지 않는 여자들》편향된 데이터는 어떻게 세계의 절반을 지우는가 왜 유독 여자들에게 여름철 사무실의 에어컨 바람이 춥게 느껴질까. 일부 국가에서 '성 중립' 화장실을 만든 이후 화장실 앞의 여자들이 선 줄이 더 길어진 이유는 무엇일까. 왜 교통사고가 났을 때 여자가 죽거나 다칠 확률이 더 클까. 영국의 언론인이자 여성운동가 캐럴라인 크리아도 페레스가 쓴 '보이지 않는 여자들(원제 Invisible Women·웅진지식하우스)'은 이 세상에서 여자들이 겪고 있는 여러 문제가 여자에 관한 데이터의 공백 때문에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많은 경우 여자는 데이터 작성 때 고려조차 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여자들은 불편하고 가난하며 때로는 목숨까지 위협받는다는 것이다. 저자는 과거부터 줄곧 사람은 남자와 동일시됐다고 말한다. 영어의 'man'과 같이 인도유럽어 계통에서는 '남자.. 2020. 9. 9.
《슈퍼 씽킹》모든 결정의 공식 “사고법만 바꿔도 인생이 달라진다” 당신을 성공의 지름길로 이끄는 안내서 이 책의 저자이자 사생활 보호 검색 엔진인 덕덕고(DuckDuckGo)의 CEO 겸 설립자인 가브리엘 와인버그와 통계학자이자 연구가인 로런 매캔은 『슈퍼 씽킹』에서 잘못된 의사결정으로 막대한 피해를 보았거나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된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후회 없는 결정을 내릴 수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경제학, 심리학, 논리학, 철학, 과학 등의 학문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신 모델들, 즉 안티프래질, 넛징, 인지부조화, 기회비용, 자연선택, 매몰비용의 오류 등 다양한 모델들을 우리의 일상에 적용하기까지의 과정을 안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최소한의 시간을 들여 최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이.. 2020. 8. 27.
《이기적 윤리》Blind Spots 스스로 윤리적이라고 내세우는 사람의 실제 점수는 얼마나 될까? 생각만큼 높지 않다. 왜 그처럼 과대평가하는 것일까? 자신이 되고 싶어 하는 사람과 실제 모습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제대로 깨닫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윤리의 사각지대(Blind Spots)를 어떻게 일깨울까? 각종 딜레마에 직면한 사람의 심리 상태를 고려할 때 가능하다. 행동윤리학에 관심을 기울여 온 두 저자가 금융시장 붕괴, 엔론의 몰락, 포드 핀토자동차 결함, 챌린저 우주왕복선 참사 등 윤리적으로 문제가 되었던 사건들을 분석함으로써 해결책을 제시한다. 누구나 알고 보면 착한 사람이다? 0부터 100까지의 점수 중, 다른 사람과 비교해 스스로 점수를 매겨 보라. 몇 점인가? 평균 점수를 매기면 아마도 75점 정도가 나올 것이다. 그러.. 2020. 8. 26.
《The Room Where It Happened 》A White House Memoir AS PRESIDENT TRUMP’S NATIONAL SECURITY ADVISOR, JOHN BOLTON SPENT MANY OF HIS 453 DAYS IN THE ROOM WHERE IT HAPPENED, AND THE FACTS SPEAK FOR THEMSELVES. THE RESULT IS A WHITE HOUSE MEMOIR THAT IS THE MOST COMPREHENSIVE AND SUBSTANTIAL ACCOUNT OF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ONE OF THE FEW TO DATE BY A TOP-LEVEL OFFICIAL. WITH ALMOST DAILY ACCESS TO THE PRESIDENT, JOHN BOLTON HAS PRODUCED A PRE.. 2020. 8. 26.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민주주의는 어떻게 끝장나는가 사람들을 통제하는 방식이 두 가지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나는 조지 오웰(George Orwell)의 『1984』방식이고 또 다른 하나는 올더스 헉슬리(Aldous Huxley)의『멋진 신세계』방식입니다. 『1984』의 빅브라더는 모든 걸 감시하고, 모든 걸 억압하고, 모든 걸 통제하는 방식이에요. 닐 포스트먼은 ‘지금의 통제 방식은 그런 게 아니다’라고 말합니다. 실제로 1984년이 되고 보니, 조지 오웰의 빅브라더 방식은 틀렸다. 오히려 지금은 올더스 헉슬리가 말한 『멋진 신세계』 방식의 통제, 즉 사람들에게 많은 정보를 주고, 사람들에게 놀거리를 주면서, 스스로 압제를 환영하도록 만들어 통제하는 시대라는 겁니다._본문 21쪽 그들이 선동하면 쏠림 현상이 생겨 확~모이고, 틀린 방향 혹은 틀린 답을 .. 2020. 8. 26.
《 똥손 탈출 100일 100드로잉 》 2020. 4. 27.
《숫자가 만만해지는 책 》 한 번 배우고 평생 써먹는 숫자 감각 기르기 “이 책의 목표는 우리가 매일 마주치는 숫자를 평가하거나, 자신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또는 다른 사람의 주장에 반박하기 위해 자기 나름의 숫자를 제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 책은 당신이 들여다보는 숫자에 대해 지적 회의감을 품고 중요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숫자를 계산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일단 적절한 지식으로 무장하고 나면, 숫자로부터 자신을 지킬 방법은 무수히 많다.” -서문 중에서 “한 번 배우고 평생 써먹는 숫자 감각 기르기” 청소년부터 직장인까지, 두껍고 어려운 수학책 앞에서 좌절했던 독자들을 위한 가장 친절한 안내서 숫자 감각을 기르기 위해 수학 공부를 다시 할 필요는 없다. 《숫자가 만만해지는 책》에는 머리 아픈 수학 공식이나 확률, 함수, 미적분 같은 고급 개념이 등장하지 않는.. 2020. 4.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