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럼Column

[금융주의보-230] 총저축률 떨어졌다고 저축하지 않음을 탓하지 마라

by Retireconomist 2012. 12. 12.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발표한 하나의 자료가 연말 분위기를 우울하게 하고 있다. 우리나라 총저축률이 30.4%를 기록하면서 1982년 3분기의 27.9%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3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총저축률을 두고는 그 이유를 경기 침체와 가계 소득의 악화, 그리고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개인저축이 빠르게 감소한 탓이라는 게 중론이다. 총저축률은 국민경제가 소비나 저축으로 쓸 수 있는 소득(이를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라고 한다)에서 개인ㆍ기업ㆍ정부 저축의 합인 총저축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총저축률이 낮아지면 국내에서 투자자금을 충분히 조달하기 어려워진다는 뜻이다. 가장 높은 총저축률을 기록했던 적은 1988년으로 41.5%를 기록하며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달성했었다. 하지만 1년 뒤인 1989년 38.1%로 떨어진 뒤 외환위기 직전인 1996년 3분기 36.5%까지 내려앉았다. 그래도 글로벌 금융위기가 불거졌던 2008년엔 30.42%를 기록하면서 30%대를 간신히 지켰으나 현재는 20%대 수준으로 주저앉기 일보 직전이다.

2012_YEOSU_EXPO_1_3_00542
[지난 6월 엑스포, 뜨거운 햇살을 피하고 싶었으나 그늘이 없었기에 무더위에서 몇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총저축률은 정부저축률과 민간저축률의 합계인데 그 주된 원인을 민간저축률의 급락으로 꼽고 있다. 총저축률이 최고치를 기록했던 1988년의 민간저축률은 18.7%로 당시 41.5% 총저축률의 절반 정도를 차지했었는데 이후 내리막을 거듭하며 지난해에는 민간저축률이 4.3%까지 떨어졌다. 지난해 민간저축률이 총저축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5%에 불과했다.

이는 개인들이 저축할 여력이 없기 때문으로 예상할 수 있다. 거기에 가계 빚의 증가 또한 그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시중은행의 예금상품 금리가 물가상승률에도 못 미치는 연 2%대에 머무는 등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있는 것도 저축 동기를 약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가파른 고령화에 따라 사회보장 지출이 늘어난 것과 생산 인구의 감소도 그 원인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원인 파악 이후에 특별한 대응방안이 없다는 것이 더욱 걱정거리다.

민생의 현장을 수치로만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수치로 느낄 수 있는 평균도 어렵다면 평균 이하의 삶을 영위하는 분들에게는 엄청난 어려움이 닥쳐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총저축률이 떨어짐으로 인해서 경제성장률이 떨어진다는 경고를 통해서 저축하지 않음을 탓하기 전에, 저축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이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이 더욱 절실하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 김형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