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 종교의 주제는 어떻게 죽느냐에 달린 것처럼 보인다. 브라만교와 힌두교,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는 윤회사상이 폭넓게 받아들여지고 있었고 신앙을 이루는 밑바탕이 되었다. 윤회사상이란 죽은 자가 사후에 다양한 존재로 다시 태어난다는 믿음이다. 인도는 본래 삶 자체를 고통이라고 생각했으며, 윤회의 반복에서 벗어나는 것을 해탈이라고 보았다. 또한, 인도인들은 아슈라 마(Asrama 四住期, 사주기)라는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있다. 인간의 삶을 네 주기로 나눈 것인데 브라흐마짜르야(Bahmacaya, 학생기, 學生期)와 그리하스트흐야(Grihasthya, 家住期, 가주기), 바나쁘르스트하(Vanaprastha 林棲期, 임서기) 그리고 산야사(Sanyasa 遊行期 유행기)로 나누었다.
첫번째 아슈라마인 학생기에는 올바른 가르침을 익히고 규율을 지키는 , 가정기는 가정을 꾸리고 부지런히 일하는 기간이다. 가부장의 생활이며, 세상 속에서 활동 생활이며 사회적 혹은 기타 책임을 가진 가정인의 생활이다. 자녀 양육을 끝내고 일도 어느 정도 매듭을 지었다면 은퇴해서 속세를 떠나 삼림 속에서 조용하게 생을 보내는 임서기로 접어든다. 그의 아이들이 결혼하여 자립 할 때까지 연장되기 때문이다. 그가 바나쁘라스트하기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은 그 시기에 관계된 리나(Rina) 즉 부채를 청산한 때이다. 그대로 숲 속에 사는 사람으로서 결국 세상의 투쟁에서 은퇴한 사람이되 반드시 활동적 생활을 떠난 것은 아니다. 세상의 야심을 버리고 신 혹은 세상의 복지에 봉헌하는 것이며, 물질적 이익을 생각지 않고 공부나 명상 기타 활동에 종사하는 기간이다. 그 뒤에는 가정, 재산, 그 밖의 소유물을 모두 버리고 무일푼으로 생활하는 유행기가 기다린다. 현대인도 사회에서 큰 공을 세워 널리 명성을 떨친 뒤 유행기에 오르는 사람이 적지 않다.
임서기 즉, 바나쁘라스트하의 사상은 힌두문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그 뒤에 숨은 사상은 일정 연령이 지난 후 사람은 남에게 자신의 성숙한 지혜와 경험을 유용하게 하면서 실제적 생활에서 은퇴해야 하며, 그들의 활동은 획득이나 권력의 행사에 돌려져선 안 되고 충고나 안내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적당한 연령에 권력이나 권위의 자리를 젊은 사람에게 물려주고 물러난다는 것이 바나쁘라스트하가 의미하는 바이며, 그것이 고귀한 이상임은 아무도 부정하지 못한다.
[나침판처럼 방향을 알려주지 않으면 일몰인지 일출인지 구분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 사진. 김형래]
'칼럼Colum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nior 골든라이프-23] 강사가 되어보는 것, 내가 꿈꾸던 일, 그 일을 하자 - [GOLD&WISE] 9월호 (0) | 2013.09.05 |
---|---|
[금융주의보-268] 1인 시니어 가구, 편하기 보다는 취약하다. (0) | 2013.09.04 |
[준비하는 재테크-170] 구직하실 시니어에게 드릴 몇 가지 조언 (0) | 2013.09.01 |
[준비하는 재테크-169] 시니어 월세 세입자를 위한 필요한 긴급구호금융 (0) | 2013.08.23 |
[금융주의보-266] 구직하실 시니어에게 드릴 몇 가지 조언 (0) | 2013.08.21 |
[금융주의보-265] 시니어 월세 세입자를 위한 긴급구호금융 필요하다 (0) | 2013.08.15 |
[준비하는 재태크-168] <꽃보다 할배>가 히트 상품이 된 세 가지 비결 (0) | 2013.08.10 |
댓글